[시간관리] 프랭클린 플래너를 쓰는 사람 시간은 다르다
본문 바로가기
독서후기

[시간관리] 프랭클린 플래너를 쓰는 사람 시간은 다르다

by Hyoungjoo 2020. 5. 18.
반응형

 

 

 

 

 

 

이 책에서 말하는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행동을 관리한다"말이 가장 와닿는다. 시간 관리를 위해서 많은 툴이나 방법이 있지만 정작 자신의 내면을 바꿀려고는 하지 않는것 같다. 외부로 부터의 변화가 아닌 내부로 부터의 변화를 통해 나의 시간 더 나아가 인생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바쁜 사람일수록 수첩은 스케쥴로 빽빽한 것이다. 이것을 보고 "시간을 관리하고 있다"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시간은 현재에서 미래로 향하는 일방통행임으로 멈추게 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하는 식으로 관리 할 수 없다.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시간이 아니라 당신의 행동뿐이다.  스케쥴 관리만으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제1세대는 일단 메모를 한다. 제2세대는 시간축으로 관리한다. 제3세대는 우선순위를 매긴다. 제4세대는 가치관에 따라 진로를 결정한다. 결국 인생이 바뀐다.

 

 

 

 

미국 프랭클린 코비 사 부회자인 스티븐 코비는 지식정호사회의 시간 관리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발견"하는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성과나 생산성이 대단히 높은 수준인 반면, 우리가 행하고 관리 방식과 계획의 패러다임, 기술은 이전 시대의 사태 그래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원래 좋은 재능,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전 시대의 패러다임이나 기술은 우리의 재능과 능력을 살리지 못하고 억압해 버린다.  지금이야 말로 자신의 "목소리"를 발견할 때이다.

 

사람은 누구나 네가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잠재력을 업무나 생활속에서 잘 활용하고 성장시키는것이 중요한다.

신체적 잠재력은  행동이나 사고의 근원인 신체 그 자체이며 건강한 신체를 확보해야 된다. 지적 잠재력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의 정보습득력이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나 지식이다. 감성적 잠재력은 인간관계에서 있어서의 지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영적 잠재력은 사람이 지닌 "마음의 소리"라고 할 수 있다. 프랭클린 플래너로 네 가지 잠재력을 활용한다.

 

초반부에는 SK텔레콤 상무 윤송이, 알렉산드로비치 류비셰표, 공병호경영연구소 공병호 소장, 빌 클린턴, 경희대 신방과 이지영의 시간관리 와 인생관리에 대한 내용이다. 각 사람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시간관리에 대한 습관을 배울수 있다. 특히 구소련의 곤충분류학자인 알렉산드로비치 류비셰프(1890-1972)는 자신의 모은 일상을 1분호 소홀히 하지 않고 철저히 "시간관리"를 하였다. 그는 분 단위로  자신의 업무를 쪼개어서 생활하였다. 

그는 철저하게 모든 일과를 기록했으며 매일 하루를 마칠때 자신의 시간을 평가했다. 이를 근거로 통계를 내고 분석하였다. 이 통계를 근거로 목표를 잡고 실행하였고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였다.

 

경희대 신방과 이지영씨는 가치관 정립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자신이 태어난 이유와 사명을 확실히 하고 자신의 역활을 명확히 하게 되면 그에 따른 목표가 수립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반드시 그에 대한 평가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제4세대 수업의 네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한 방향 정렬
  • 역활의 균형
  • 우선 사항 설정
  • 인간관계 중시

프랭클린 플래너는 "관리가 아니라 플랭닝" 을 중시하며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관리한다.  행동을 계획하고 관리함으로써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이로 인해 생활의 균형이 잡힌다.  모든 일을 기록함으로써 정보를 하나로 관리하여 최종적으로 스케쥴에 쫒기지 않고 목표에 다가갈 수 있다(인생이 바뀐다).

 

수첩에 대한 선입관을 버리는것이 중요하다. 수첩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늘 휴대할 수 있고 언제든 기입할 수 있으며 일람성이 뛰어나다.  모든 정보를 수첩에 집중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수첩을 활용하여 스케쥴을 관리하는것이 합리적이다.

1.아침에 오늘의 예정을 모두 쓴다. 2. "...하고 싶다"라고 써본다. 3. 자신과의 약속을 지킨다. 4.  계획을 세우는 주체는 자기자신이다. 즉 매일의 행동은 당신이 정해야 하며 당신이 실행을 해야 된다.

 

SMART  (Specific, Measurable, Action-Oritented, Reaistic, Timely ) 하게 목표를 설정하기

1.목표를 구체적으로 쓴다.

2.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설정한다

3. 현실적이고 시기적절하게 목표를 설정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