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AttractSPE Disk Bio C18의 효율성을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이 C18 materials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소량의 펩타이드를 분획후 단백질/펩타이의 검출수를 증가시켜 보았습니다. 이전의 방법으로 C18 Disk 의 materials을 200 ul 파이펫 팁에 충전시켰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293T cell lysate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7개로 분획하였습니다. 또한 분획하지 않은 결과와 비교하였습니다.

아래는 분획하지 않은 2 µg 시료는 3번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입니다.

아래는 10 µg 을 두번 분획후 각각 절반 ( 5 µg on-column)을 질량분석기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입니다. 두 번의 분획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 거의 동일한 패턴으로 검출되었습니다.

두번의 반복 분획에서 얻어진 단백질과 펩타이드 수에 대한 벤다이어 그램입니다. 단백질의 경우 95 %, 펩타이드의 경우 89.5% 가 겹칩니다.

두 번의 반복 실험에서 검출된 단백질 abundance에 대한 boxplot 입니다.

마지막으로 분획을 하지 않은 실험과의 단백질/펩타이드 검출수의 비교입니다. 분획후 검출된 단백질의 수는 약 1.6배, 펩타이드의 수는 약 2배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이 테스트를 통해서 AttractSPE Disk Bio C18를 충진한 컬럼을 이용하여 소량의 시료를 간단한 분획으로 많은 양의 단백질/펩타이드를 얻을수 있습니다.
관련글
AttractSPE Disk Bio C18 를 이용한 펩타이드 정제 (Peptide clean-up)
AttractSPE Disk Bio C18 를 이용한 펩타이드 정제 (Peptide clean-up)
AttractSPE Disk Bio C18 작년에 Affinisep 회사(www.affinisep.com/)에서 테스트용으로 AttractSPE Disk Bio C18 를 받았습니다. Pre-packed C18 tip 은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C18 disk 로 self-pack으로 사..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C18 Spin-Column 으로 High pH Reverse-Phase chromatography Fractionation 하는 법
C18 Spin-Column 으로 High pH Reverse-Phase chromatography Fractionation 하는 법
Harvard Apparatus 의 Micro C18 Spin-column 를 이용한 펩타이드 분획방법이다.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는 high pH reverse-phase chromatography (hpRP) 를 이용한 방법으로써 알카리성의 buffer와 Acetonitrile..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4mg Protein digestion clean-up, Sep-Pak C18, 500mg Sorbet Cartridge (tistory.com)
4mg Protein digestion clean-up, Sep-Pak C18, 500mg Sorbet Cartridge
많은 양이 단백질을 digestion후 clean-up을 할 때 적절한 C18 clean-up cartridge를 선택해야 됩니다. 특히 중요한 시료일 경우 시료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하지만 clean-up 과정에서 얼마나 손실이 되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프로테오믹스(단백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Plex TMT로 Phosphopeptides 검출에 있어서 Sequest HT 와 MS Amanda 2.0 비교 (0) | 2021.02.14 |
---|---|
단백질 분석에 있어서 MS Amanda 와 Sequest 검색엔진 비교 (0) | 2021.02.09 |
Pierce™ Top 12 Abundant Protein Depletion Spin Columns 으로 혈액 단백질 검출하기 (0) | 2021.01.31 |
Thermo Easy nLC method 설정 방법 (0) | 2021.01.27 |
In-source fragmentation (CID) for N-linked peptide Characterization (0) | 2021.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