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Targeted Assay 인 Parallel Reaction Monitoring (PRM)에 대한 Benchmark 실험을 하였습니다.
최근 장비들은 Isolation의 효율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0.5 m/z 와 같은 narrow isolation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 감도가 줄어들지 않으면서 interference peak들을 최대한 제거할수 있습니다. 만약 최대한 target ion만을 isolation 한후 있다면 동일한 AGC 값에서 보다 더 많은 target ion들만을 모을수 있습니다.
0.5 m/z and 1.5 m/z isolation for PRM (BSA)
아래는 100 fmol BSA를 이용하여 0.5 m/z와 1.5 m/z isolation window 에서 PRM을 수행한 결과입니다. 대표적인 두 펩타이드의 상대적인 넓이를 비교해보면 0.5 m/z에서 더 높은 값을 가짐을 알수 있습니다.

50 Target Peptides of HeLa standard for unscheduled PRM
100 ng HeLa standard를 이용하여 50 target peptides에 대한 unscheduled PRM을 수행하였습니다. 즉 한번의 full scan이후 50번의 PRM을 수행합니다. 아래는 50개 펩타이드에 대한 Sequence정보입니다.

60 min LC gradient에서 50개의 펩타이드가 모두 잘 검출되었습니다. Skyline 에서 모든 펩타이드가 초록색입니다.

MS2 resolution에 따른 감도를 비교해보았습니다. 아래의 그래프에서 보는것과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MS2 의 resolution이 증가 될수록 감도가 조금씩 증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몇개의 펩타이드보다는 50개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unscheduled PRM을 수행하여 장비의 감도를 점검할수 있습니다.
관련글
Thermo Orbitrap Exploris 480 Benchmark (Data-Dependent Acquisition)
Thermo Orbitrap Exploris 480 Benchmark (Data-Dependent Acquisition)
2021년 초에 설치되었던 Exploris 480이 다른 큰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드뎌 제 손으로 직접 테스트 해보게 되었습니다. 비록 완전 새것 상태에서는 바로 테스트를 못한것이 아쉬움이 있지만 그래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Thermo Q-Exactive HF benchmark Experiments
Thermo Q-Exactive HF benchmark Experiments
오래전에 Refurbished QE-HF를 설치한후 Benchmark 실험을 한 데이타를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비록 완전 새것은 아니지만 특별히 장비에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구입을 하였습니다. 장비가 설치되면 Re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Q-Exactive (Thermo Scientific) Benchmark data
Q-Exactive (Thermo Scientific) Benchmark data
저의 대학원생활의 첫 질량분석기는 지금은 볼수 없는 Agilent사의 iontrap이 었습니다. 그 당시 Thermo Finnigan 사의 LCQ 나 LTQ가 가장 좋은 질량분석기였습니다. 몇년후 LTQ를 구매하고 나서 Nature 급 논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프로테오믹스(단백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IMS) Orbitrap Exploris 480 FAIMS Benchmark (Data-dependent Acquisition) (0) | 2021.06.30 |
---|---|
Orbitrap Exploris 480 Benchmark (Data Independent Acquisition) (0) | 2021.06.29 |
Thermo Orbitrap Exploris 480 Benchmark (Data-Dependent Acquisition) (0) | 2021.06.28 |
C18 컬럼에서 펩타이드가 분리되는 과정 (0) | 2021.06.27 |
DIA와 DDA에서 Replicate 수의 증가에 따른 검출 단백질수의 변화 (0) | 2021.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