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QC 용으로 Promega사의 6 × 5 LC-MS/MS Peptide Reference Mix 를 구매하여 테스트 하였다.
일반적으로 System Suitability 체크용 Standard 펩타이드의 경우 서로 동일한 농도를 가지는 서로 다른 펩타이드 의 Mixture이다. 혹은 일련의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서로 다른 펩타이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Promega 6 × 5 LC-MS/MS Peptide Reference Mix 는 6가지의 서로 다른 펩타이드를 가지며 동일한 펩타이드에 5가지 서로다른 농도의 heavy isotope이 포함되어 있다.. 즉 한번의 시료 주입으로 LC 시스템, 컬럼상태, 질량분석기의 Sensitivity와 Dynamic range 동시에 체크가 가능하다. 업체에서 소개하는 동영상에도 잘 설명되어 있다. (동영상보기)

Mixture 는 DDA 보다 PRM 으로 측정하는것이 더 효과적인것 같다. 동일한 펩타이드 backbone 을 가지는 Heavy 펩타이드들은 동일한 retention time을 가진다. 그러므로 PRM 분석후 Skyline으로 쉽게 비교가 가능한다.
먼저 100 fmol를 주입하여 전체적인 피크 분포를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피크들이 잘 분포되어 있다. 각 펩타이드들의 감도는 약간 씩 다른것 같다. 특히 첫번째 와 마지막 펩타이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도를 가졌다.

Orbitrap Fusion 이용하여 30 peptides (6 x 5)에 대한 unscheduled PRM 분석을 해보았다.
아래 그림은 100fmol에 대한 PRM 크로마토그램이다.

Skyline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해보니 5개의 서로다른 농도중 하위 2~3개는 좋은 감도로 검출되지 않았다.
농도의 범위가 10배에서 10000배 차이가 나는것을 감안하면 Unchedule PRM에서는 하위 농도 2~3개가 잘 검출이 안되는것 같다. 만약 질량분석기기의 감도가 가장 좋을때 분석하면 더 검출될수도 있을것 같다.
다음은 Unscheduled PRM에서 얻어진 retention time 정보를 이용하여 Scheduled PRM 으로 다시 분석하였다.
Schedule PRM에서는 전체적으로 감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하위 농도 1~2번째 펩타이드는 잘 검출되지 않았다.
아래 그림은 VTSGSTSTSR 에 5가지 펩타이드에 대한 Skyline 그래프이다.

동일양의 주입에서 scheduled PRM이 unscheduled PRM에 비해서 감도는 좋지만 매번 QC 마다 scheduled PRM를 할 수 없다 (매 분석마다 컬럼이 다를수 있다). 또한 농도의 펩타이드의 검출감도를 높이기 위해 과량의 농도를 주입하게 되면 고가의 시약이 빨리 소모될수 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본 mixuture 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용도의 QC 에 사용될수 있을것같다.
Skyline template 다운로드
찾아보니 Skyline team에서 이미 만들어 놓았다.. (바로가기)
관련글
RawBeans: A Simple, Vendor-Independent, Raw-Data Quality-Control Tool
시스템 상태와 분석법 최적화를 위한 QC 검증 툴-Proteomics Quality Control (PTXQC)
시스템 상태와 분석법 최적화를 위한 QC 검증 툴-Proteomics Quality Control (PTXQC)
최근에 QC용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2016년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26653327/ Proteomics Quality Control: Quality Control Software for MaxQuant Results..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Promega 6 × 5 LC-MS/MS Peptide Reference Mix 를 이용한 시스템 QC
Standard BSA digest 로 LC 장비, 컬럼, 질량분석기 상태확인하는 법
Standard BSA digest 로 LC 장비, 컬럼, 질량분석기 상태확인는 법
항상 최적의 장비상태로 분석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쩔수 없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장비의 감도는 떨어지게 마련이며 그때 마다 장비를 분해해서 클리닝을 할 수도 없습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장비상태 확인을 위해 Standard BSA를 이용한 Unscheduled PRM 분석법
장비상태 확인을 위해 Standard BSA를 이용한 Unscheduled PRM 분석법
일반적으로 장비상태 점검을 위한 BSA 분석은 Data Dependent Acquisition (DDA) 방법을 이용하다. 이를 통해 검출가능한 모든 펩타이드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BSA의 Sequence coverage 및 검출된 펩타이드를 점
proteomicstechnology.tistory.com
Pierce™ HeLa Protein Digest Standard (P/N 88329)로 장비상태 확인하는 방법
'프로테오믹스(단백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BSA를 이용한 Disulfide-linked Peptides 검출법 (0) | 2020.04.17 |
---|---|
단일 In-gel 밴드에서 99% Sequence coverage 얻기 (0) | 2020.04.16 |
Active Background Ion Reduction Device (ABIRD)를 이용한 Background Peaks의 감소 측정 (0) | 2020.04.14 |
Proteome Discoverer 2.4 의 Precursor Detector note를 이용한 단백질 검출 향상법 (0) | 2020.04.13 |
Thermo TSQ Altis™ Triple Quadrupole 를 이용한 프로테오믹스 분석 (0) | 2020.04.12 |
댓글